7월 24일 계속되는 반란과 악행, 어두운 미래 > 매일묵상

본문 바로가기

매일묵상

July 23, 2024 . 아름다운동산교회 7월 24일 계속되는 반란과 악행, 어두운 미래

본문

본문 : 왕하 15: 13-26 
 

본문에는 북이스라엘의 므나헴과 브가히야 그리고 베가의 통치에 대하여 기록하고

있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대다수 북이스라엘의 왕들처럼 ‘여로보암의 죄’에서 떠나

지 않았다는 것입니다.


살룸(13-16) 북이스라엘의 왕들 중에서 가장 짧은 기간을 통치한 왕은 제5대 왕인

시므리입니다. 그는  디르사에서 7일 동안을 왕노릇  했을 뿐입니다(왕상16:15). 그

다음으로 짧았던 왕이 본문의 살룸입니다. 그는 한 달 동안 이스라엘의 왕위에 있었

습니다. 이 살룸이 스가랴를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들은 므나헴은 그가 있

던 디르사에서 곧 군사를 일으켰습니다. 디르사는 북이스라엘이 건국된 이래 오므리

가 사마리아로 천도하기까지 약 50년간 이스라엘 나라의 수도였던 곳입니다. 므나헴

의 명분은 뚜렸했습니다. 왕을 죽이고  왕위를 찬탈한 자를 응징해야 한다는 것입니

다. 결국 살룸은  왕위에 오른 지 한 달 만에  그가 스가랴를 공개 석상에서 죽이고

왕위에 올랐던 것처럼 자신도 므나헴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말았습니다.


  므나헴(17-18) 므나헴은 북이스라엘의 제16대 왕입니다. 그는 10년 동안 이스라엘

을 통치했습니다(B.C.752-742년).  그가 살룸을 치기 위해  북이스라엘의 옛 수도인

디르사에서 군사를 일으킨 것으로 보아 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

습니다. 유다 역사학자 요세푸스는 그를 여로보암 2세의 총사령관이었다고 기록하였

습니다. 므나헴은 사마리아로 오는 도중  딥사를 공격하였는데 그 이유는 딥사의 사

람들이 그를 왕으로 인정하는 것을 거절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. 딥사를 공격한 므나

헴은 아이 밴 여인까지 살인하는 잔인함을 보임으로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대항하지

못하도록 했습니다.  므나헴도 일평생 동안 여로보암의  죄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.

이는 그 역시 하나님 앞에서 실패한 삶을 살았다는 것을 증거해 줍니다.


  앗수르 왕 불(19-22) 앗수르 왕  불은 29절의 디글랏 빌레셀 3세와 동일 인물입니

다. 불(Pul)이란 이름은 바벨론식 이름으로 그가 바벨론의 왕권을 차지하고 나서 불

리운 이름입니다. 앗수르 왕 불의  공격을 받은 이스라엘의 므나헴은 불에게 뇌물을

주어 자신의 왕권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.  므나헴은 이 뇌물을 충당하기 위해 부자

들을 토색했는데 본문의 ‘토색했다’는 것은 강제로 빼앗는 것을 의미합니다. 그는

권력의 힘을 이용하여 남의 재산을  강제로 빼앗은 것입니다. 불법과 폭력으로 왕위

를 찬탈한 므나헴은 이제 불법을 동원해서 그것을 지키고자 했습니다. 앗수르 왕 불

에게 뇌물을 바친 대가로 므나헴은 왕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.


  브가히야(23-26) 브가히야는 므나헴의  아들로 북이스라엘의 제17대 왕입니다. 그

역시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고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했습니다. 그는

재위 2년 만(B.C.740년)에 베가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.